2025/07/09 3

OECD 주요국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비교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국가적 대응, 교육에서 시작된다 세계는 지금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에 있다. 기술은 우리의 삶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지만, 그 속도에 비해 사람들이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은 아직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어린 학생들이나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들은 수많은 정보 속에서 무엇이 진짜이고,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판단하지 못한 채 방황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각국은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를 교육의 핵심 역량 중 하나로 채택하고 있으며, 초등학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디지털 시민성을 키우기 위한 교육정책을 실행 중이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속한 주요 선진국들은 디지털 교육을 정보 활용 능력, 비판적 사고력, ..

디지털 리터러시 부족이 초래하는 사회 문제들

디지털 환경은 넓어졌지만, 판단력은 제자리다 정보가 넘치는 시대에 우리는 스마트폰 하나로 세상과 연결되어 있다. 인터넷, SNS, 유튜브, 생성형 AI 등 디지털 도구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문제는 그 안의 정보가 모두 믿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지금 우리 사회는 정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보다 ‘무엇을 믿고,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가?’가 훨씬 더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디지털 기술은 진화했지만, 이를 읽고 해석하며 윤리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즉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는 여전히 많은 사람에게 부족한 상태다. 단순히 기기를 잘 다루는 것과, 디지털 공간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책임 있게 행동하는 것은 전혀 다른 이야기다. 그리고 이 리터러시 부족..

중학생을 위한 단계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안 제안

단순한 ‘기술 수업’이 아닌 ‘사고 훈련’이 필요한 시대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중학생들은 이미 하루에도 수십 개의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유튜브로 뉴스를 보고, SNS로 친구와 소통하며, AI 기반 도구를 이용해 과제를 작성하기도 한다. 디지털 환경은 이제 이들의 ‘생활 공간’이 되었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학생은 그 안에서 정보를 걸러내고, 표현하고, 책임지는 법을 충분히 배우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는 단순히 기기를 잘 다루는 능력이 아니라, 디지털 환경 속에서 정보를 판단하고, 윤리적으로 소통하며, 온라인 시민으로서 바르게 행동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특히 중학생 시기는 정보 수용 태도와 사고방식이 빠르게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 시점에 체계적이고 ..